AI·Zero-Click

2025년 AI·Zero-Click 해킹과 디스코드 초대링크 하이재킹: 최신 사이버 공격의 실태와 대응

2025년 AI·Zero-Click 해킹과 디스코드 초대링크 하이재킹: 최신 사이버 공격의 실태와 대응

1. 개요

2025년 6월, 인공지능(AI)과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노린 제로 클릭(Zero-Click) 해킹디스코드 초대링크 하이재킹이 전 세계적으로 큰 보안 이슈로 부상했다. 제로 클릭 공격은 사용자의 클릭이나 별도의 행동 없이도 악성코드가 침투하는 신종 해킹 방식이며, AI 도구의 자동화 기능과 결합해 피해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최신 AI 해킹 기법, 마이크로소프트 Copilot의 ‘EchoLeak’ 취약점, 데이터 포이즈닝, 디스코드 초대링크 하이재킹 사례 등 2025년 사이버 위협의 실상을 20개 이상의 자료를 바탕으로 심층 분석한다.

2. Zero-Click 해킹: 정의와 진화

2.1. Zero-Click 공격이란?

  •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악성코드가 실행되는 공격 방식.
  • 이메일, 메시지, 멀티미디어 파일, 인증 요청 등 다양한 경로로 침투.
  • 스마트폰, PC, 클라우드, IoT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발생.

2.2. 대표 사례

  • 2025년 Paragon 스파이웨어의 WhatsApp 제로 클릭 공격.
  • 2025년 1월, Windows OLE의 CVE-2025-21298 취약점: Outlook 이메일 미리보기만으로 원격코드 실행.
  • iMessage, WhatsApp, AirDrop 등 글로벌 메신저의 제로 클릭 취약점 연쇄 발견.

2.3. 공격 메커니즘

  • 악성 RTF, 이미지, 링크, 인증 요청 등 다양한 포맷 활용.
  • 앱의 자동 처리 로직을 악용해 사용자의 인지 없이 공격 실행.
  • 감염 후 백도어 설치, 정보 탈취, 원격제어, 추가 악성코드 배포 등 연쇄 피해.

3. AI 해킹과 Copilot EchoLeak 취약점

3.1. AI 기반 해킹의 부상

  • AI가 이메일, 문서, 채팅 등 방대한 사내 데이터를 자동 분석·요약.
  • 공격자는 AI의 자동화·능동적 데이터 접근성을 악용해 정보 탈취.
  • AI 데이터 포이즈닝, 프롬프트 인젝션, LLM 범위 침해 등 신종 공격 기법 등장.

3.2. EchoLeak: 최초의 AI 제로 클릭 취약점

  • 2025년 6월, Aim Security가 Copilot의 EchoLeak 취약점 공개.
  • 공격자가 이메일 등 외부 입력을 통해 Copilot의 내부 데이터(이메일, 채팅, 문서 등) 자동 추출·유출 가능.
  • 사용자 클릭 없이 AI가 자동으로 이메일·문서 내용을 분석, 공격자 요청에 따라 민감 정보 노출.
  • Microsoft는 취약점 공개 후 긴급 패치 배포, 실제 악용 사례는 미확인.

3.3. AI 데이터 포이즈닝과 LLM 공격

  • AI 학습 데이터에 악성 데이터를 주입해 모델 동작을 조작(데이터 포이즈닝).
  • 프롬프트 인젝션: 공격자가 AI의 입력창에 악성 명령어 삽입, AI가 민감 정보 유출.
  • Dark LLMs(해커 전용 AI), Jailbreak, API 탈취 등 다수의 AI 악용 사례 보고.

3.4. 실제 공격 시나리오

  • 공격자가 이메일로 악성 프롬프트, 링크, 이미지 등을 전송.
  • Copilot이 해당 이메일을 자동 분석하며, 내부 데이터와 결합해 공격자에게 정보 제공.
  •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이메일을 열거나 클릭하지 않아도 피해 발생(진정한 제로 클릭).

3.5. AI 해킹의 확산과 대응

  • AI 기반 피싱, 딥페이크, 자동화된 리콘, 폴리모픽 악성코드 등 공격 다변화.
  • AI 보안 솔루션, LLM 입력 검증, 데이터 접근 최소화, AI 전용 취약점 관리가 필수.

4. 디스코드 초대링크 하이재킹과 피싱 공격

4.1. 디스코드 초대링크 하이재킹 개요

  • 디스코드 서버의 커스텀 초대링크(바니티 URL) 만료·삭제 시, 동일 링크를 해커가 재등록 가능.
  • 기존에 신뢰받던 공식 커뮤니티, 포럼, SNS 게시글의 초대링크가 해커 서버로 연결.

4.2. 실제 공격 방식

  1. 공격자가 만료·삭제된 커스텀 초대링크를 동일하게 생성.
  2. 기존 링크를 클릭한 사용자는 해커가 운영하는 가짜 서버로 이동.
  3. 서버 내 ‘인증’ 절차를 빙자해 악성 사이트 접속, PowerShell 명령 실행 유도.
  4. AsyncRAT, Skuld Stealer 등 악성코드 감염, 암호화폐 지갑 탈취, 원격제어 등 2차 피해 발생.

4.3. 실제 사례와 피해

  • 2025년 6월, Check Point Research가 대규모 Discord 초대링크 하이재킹 캠페인 공개.
  • 피싱, 멀웨어, 인증 사칭 등 다양한 공격 시도.
  • 커스텀 초대링크 기능(Level 3 Boost 이상) 악용, 수개월 전 게시된 공식 링크도 위험.

4.4. 대응 방안

  • 공식 초대링크의 주기적 점검 및 만료·삭제 시 즉시 대체.
  • Discord 내 인증 절차, 파일 다운로드, 외부 사이트 접속 시 각별한 주의.
  • 링크 클릭 후 로그인, 파일 실행, 인증 등 추가 행동 요구 시 반드시 재확인.
  • Discord, 보안기관의 최신 보안 가이드라인 준수.

5. AI·Zero-Click 해킹의 최신 동향과 보안 전략

5.1. AI 해킹의 진화

  • AI가 공격 자동화, 대규모 피싱, 딥페이크, 멀웨어 생성 등 다양한 공격에 활용.
  • AI 자체가 공격 대상이자, 공격 도구로 진화.
  • Dark LLMs, AI Jailbreak, API 탈취, 데이터 포이즈닝 등 신종 공격 기법 지속 등장.

5.2. 데이터 포이즈닝과 AI 모델 보안

  • 공격자가 학습 데이터에 악성 데이터를 주입, AI 모델의 예측·판단 왜곡.
  • 백도어, 미스레이블링, 데이터 인젝션 등 다양한 방식으로 AI 시스템 교란.
  • AI 학습·운영 단계에서 데이터 무결성, 입력 검증, 이상행위 탐지 필수.

5.3. Zero-Click 공격의 확산과 방어

  • 이메일, 메시지, 인증 요청 등 다양한 경로로 제로 클릭 공격 확산.
  • 최신 보안 패치 적용, 앱 자동 처리 로직 최소화, 첨부파일·링크 자동 미리보기 제한.
  • AI·Zero-Click 공격 탐지 및 대응을 위한 보안 솔루션 도입 필요.

5.4. 커뮤니케이션 플랫폼(Discord 등) 보안 강화

  • 초대링크 만료·삭제 시 즉시 대체, 공식 채널 외 링크 사용 최소화.
  • Discord 인증·다운로드·외부 사이트 접속 시 추가 확인 절차 필수.
  • Discord, Slack 등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보안 가이드라인 지속 확인.

5.5. 종합 보안 전략

  • AI, Zero-Click,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등 전방위적 보안 체계 구축.
  • 다계층 보안(Defense-in-Depth), 네트워크 분리, 최소 권한 원칙 적용.
  • 정기적 취약점 점검·패치, 사고 대응 시나리오 기반 모의훈련.
  • 내부자 위협, 공급망(서드파티) 보안, 물리적 보안까지 확장.

6. 결론 및 시사점

2025년 AI와 Zero-Click 해킹, 디스코드 초대링크 하이재킹 등 신종 사이버 공격은 자동화, 무작위성, 비대면성 등 기존 보안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위협으로 부상했다. AI 도입이 가속화될수록, AI 자체의 보안·신뢰성 확보와 함께 이메일,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등 전방위적 보안 체계가 필수적이다.
사용자는 링크 클릭, 인증, 파일 실행 등 모든 행동에서 한 번 더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며, 기업·조직은 AI·Zero-Click·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등 다양한 공격 벡터에 대한 종합적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앞으로도 AI와 자동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공격 기법이 지속적으로 등장할 것이므로, 최신 보안 동향 파악과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