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글은 이종찬 연구원이 작성한 글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정리한 실험 항목을 바탕으로 검증을 진행했다. 실험 전 구글 드라이브 서버에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파일 및 폴더를 설정했다. 이는 이전 포스팅에서 정리한 동기화 폴더 설정 : 구글 드라이브 서버 → 로컬 폴더와 관련 있다. 즉, 앞의 설정을 통해 동기화 시 서버 내의 파일 및
※ 해당 글은 이종찬 연구원이 작성한 글입니다.
#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와 자료 공유
회사에서 분석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여러 케이스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정보 유출이 까다로운 듯하다. 침해사고의 경우는 보통 사고를 인지하고 분석을 진행하기 때문에 악성코드나 공격자가 남긴 흔적을 통해 최초 유입 시점을 역으로 추적할 수 있지만, 정보 유출의 경우는 자료가 빠져나갈 구멍은